전 세계에는 수천 종의 포도 품종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와인 양조에 널리 사용되는 품종은 단 20~30종에 불과합니다. 그중에서도 샤르도네, 카베르네 소비뇽, 피노 누아 등 10대 대표 품종은 와인의 풍미와 스타일을 결정짓는 핵심입니다. 특히 샤르도네는 다양한 기후와 양조 방식에 따라 완전히 다른 개성을 드러내는 화이트 와인의 제왕으로 불립니다.
품질은 물론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도 명성 높은 지위를 획득한 품종은 샤르도네, 리슬링, 카베르네 소비뇽, 피노 누아 등이 있습니다. 알다시피 원래 우수 와인이 프랑스에서 개척된 유래상 이 스타급 품종들 대다수는 프랑스의 유산이지만 현재는 그야말로 국제적인 품종이 되어 곳곳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현대의 와인은 상당수가 포도 품종을 와인명으로 쓰고 있기도 해서, 세계의 10대 품종을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1. 포도 품종
와인의 원료로 쓰이는 종은 유라시아가 원산지인 '비티스 비니페라'라는 단 하나의 종이 있습니다. 샤르도네나 시라즈 같이, 와인 라벨에 찍히는 포도 품종들은 이 비티스 비니페라 종에 속하는 변종들입니다. 포도의 변종들은, 모두가 한 종에 속하지만 고유의 특성에 따라 번식해 온 개들의 번식과 유사합니다. 포도의 경우엔, 지역의 혹독한 겨울이나 여름의 가뭄을 견디기 위해, 생식용이나 와인 양조용으로, 또는 적포도나 청포도로 번식해 온 듯합니다.
1) 워크호스 그레이프
포도의 품종은 모두 수천 가지에 달하지만 와인 양조상 상업적 가치를 지닌 품종은 이삼십 개에 불과합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10개의 품종이 라벨에서 와인 애음가들의 눈에 자주 띄게 될 만한 대표적 품종입니다. 그렇다고 이 10개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들은 아닙니다. 최대 재배 품종은 대체로 아이렌(Airen), 생소(Cinsaut) 같이 벌크와인이나 브랜디 양조에 사용되는 워크호스 그레이프들입니다. 앞으로 소개할 10대 품종에는 템프라니요나 슈냉 블랑 등 원산지에서는 정말로 뛰어난 명성을 자랑하며 인기를 끌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크게 주목을 못 받아온 와인의 원료로 쓰이는 상당수의 포도들은 제외되었습니다.
와인계의 초특급 스타들인 10대 포도 품종은 본토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두루두루 인기를 끌며 세계 곳곳에서 재배됩니다. 화이트 와인용 포도는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리슬링, 피노 그리지오/피노 그리, 모스카토가 있습니다. 레드 와인용 포도는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 누아, 시라/시라즈, 그르나슈/가르나차가 있습니다.
어째서 유럽의 포도들은 본토에서 재배될 때보다 신세계에서 재배될 때 더 높은 명성을 얻는 걸까요? 유럽에서는 전통적으로 장소명을 와인명으로 사용하는 관례가 있습니다. 게다가 원료로 쓰인 포도의 종류가 늘 표기되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아메리카 대륙과 남반구 지역에서는 라벨에 포도명을 표기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실제로 산지오베제는 이탈리아에서는 최고의 포도일지 몰라도 키안티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같은 이탈리아 최고의 유명 와인 이름만큼 그 이름이 귀에 익지 못합니다. 반면에 말벡은 단지 이 품종이 가장 많이 재배되는 아르헨티나의 빈트너들 덕분에 친근한 이름이 되었습니다.
위의 사진은 부르고뉴 블랑(2020)으로, 100% 샤르도네, 레지오날 등급으로 오크 배럴과 스테인리스 탱크에서 숙성된 와인입니다. 처음에는 오키한 바닐라, 버터 향부터 먼저 느껴지고 다음으로 바나나, 오렌지, 레몬, 꿀, 애플 망고향이 느껴집니다. 드라이하면서 달콤한 와인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와인입니다.
위의 사진은 샤또 몽로즈 2006으로 생떼스테프에 위치한 보르도 2등급 그랑크뤼 와인입니다. 블랙베리, 라즈베리, 홍차, 바닐라 향이 느껴지며, 중상의 산도, 다채로운 향신료가 만발하며 긴 여운을 남기는 와인입니다.
2) 왜 포도일까
와인은 어떠한 과일로든 만들 수 있지만 그 많은 과일 중에서 포도가 선택받은 이유는, 포도의 즙이 가장 달콤하기 때문입니다. 와인용 포도는 숙성되면 발효 가능한 당분 함량이 최소한 20%이며 70% 이상이 수분인데, 이는 알코올 음료를 만들기에 이상적인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포도의 줄기는 제거되어 버려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일부 스타일의 레드 와인에서는 발효 과정에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껍질은 착색 성분과 타닌이 함유되어 있어 레드 와인 양조에서는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또한 포도의 풍미 성분은 대다수가 이 껍질과 바로 밑의 과육에 들어 있습니다. 빈트너들은 압착 시에 씨가 으깨지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는데, 이는 씨에서 쓴맛의 풍미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명한 과육에는 와인 양조의 주요 성분 세 가지, 즉 바로 발효 가능한 당분, 상큼한 신맛, 다량의 수분이 들어 있다. 레드와 로제 와인에서는 포도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지만, 화이트 와인의 경우엔 즙만 사용하고 고형물은 모두 폐기합니다.
2. 사르도네
섬세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풍미가 풍부하고 강한 화이트 와인으로 빚어질 수 있는 샤르도네는 인기면에서 다른 어떤 포도도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샤르도네 와인은 스타일이 거의 예외 없이 드라이하며 대량판매용 브랜드들에서만 살짝 단맛이 돕니다. 나무가 여러 기후에 잘 적응해서 와인을 생산하는 나라에서는 어느 곳이든 최소한 소량씩이라도 샤르도네를 재배합니다.
1) 오크 풍미의 가미
샤르도네는 풍미가 아주 미묘해서 대체로 빈트너들은 새 통에서의 발효를 통해 아로마를 증폭시킵니다. 하지만 오크 풍미가 기분 좋은 특색을 띠려면 포도가 충분히 숙성되어야 해서, 온화한 지역에서 만들어진 아주 묵직한 와인에서 특히 오크의 존재감이 가장 강렬한 편입니다. 가령 신세계의 샤르도네는 대개 오크 풍미가 그윽한데, 상당수 와인 애음가 들은 그 토스티 한 코냑 같은 풍미가 포도의 고유 특성이라고 착각하곤 합니다. 언오크드 샤르도네는 때때로 '언우디드'나 '네이키드'로 칭해지며 피노 그리지오처럼 상큼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기도 합니다.
대체적으로 화이트 와인은 묵직함과 오크 풍미에서 레드 와인에 미치지 못하지만, 샤르도네는 묵직함과 오크 풍미에서 레드 와인에 경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샤르도네는 대개 오크 풍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이유로 인해 더 풍부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상쾌한 신맛을 잃지 않으면서도 다른 청포도보다 당분을 더 생산할 수 있는데, 그로 인해 와인의 알코올 함량을 끌어올려주는 것입니다.
2) 주요 생산지
샤르도네는 중세시대에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현재까지도 부르고뉴의 화이트 와인은 모두 100% 샤르도네로 빚어집니다. 세련되고 절제된 '화이트 부르고뉴'는 전 세계 빈트너들이 모델로 삼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나 호주 같이 온화한 지역에서는 샤르도네를 비교적 더 숙성된 포도로 볼드하고 과일 풍미 그윽하며 풍부한 느낌의 와인으로 빚어내며, 이 와인들은 라벨에 포도명이 표기됩니다. 뉴질랜드나 캐나다 같은 서늘한 지역의 샤르도네는 더 가볍고 빛깔이 밝으며 부르고뉴 스타일에 가까운 편입니다.
- 미국 : 소노마, 산타 바바라, 몬터레이, 워싱턴, 오리건, 뉴욕
- 호주 : 애들레이드, 패더웨이, 빅토리아, 뉴 사우스 웨일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 칠레 : 카사블랑카 밸리, 마이포 밸리, 아콩카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코스탈 리전, 스텔렌보스, 케이프 사우스 코스트
- 뉴질랜드 : 호크스 베이, 기즈번, 말버러
- 캐나다 : 나이아가라 반도, 오카나간 밸리
위의 사진은 호주산 샤르도네로 재스민 향, 과일 향에 산도가 좋고, 묵직하고 부드러운 스타일의 와인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여러 가지 향이 피어오르는 정말 멋진 와인입니다.
위의 사진은 샤르도네 빈티지 샴페인으로 사과, 배, 레몬, 캐러멜, 아몬드 등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고, 오크통에서 발효와 숙성 덕분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깊은 맛이 느껴지는 와인입니다.
3. 와인의 세계는 포도에서 시작
포도 품종은 와인의 개성과 스타일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늘 소개한 10대 포도 품종을 이해하면 와인 선택이 더 쉽고 즐거워질 것입니다. 특히 샤르도네는 그 다양성과 유연성 덕분에 세계 어디에서든 사랑받는 화이트 와인용 품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당신이 이제 막 와인 세계에 입문했든, 혹은 숙련된 애호가이든, 포도 품종에 대한 이해는 와인을 더 깊이 감상하고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에 와인을 고를 때, 라벨의 포도 이름 하나만으로도 그 와인의 스타일과 특징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 또는 '댓글'을 달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스카토 vs 카베르네 소비뇽 : 와인 초보를 위한 풍미 완전 정복 (0) | 2025.07.23 |
---|---|
화이트 와인 소비뇽 블랑, 리슬링, 피노 그리지오의 특징과 스타일 분석 (2) | 2025.07.19 |
구세계 와인 vs 신세계 와인: 차이점과 유럽 와인의 역사 (1) | 2025.07.14 |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테루아와 아펠라시옹 (0) | 2025.07.13 |
주정강화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의 모든 것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