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인23

초보자를 위한 와인과 음식 궁합 가이드 특별한 요리에 와인을 맞추는 것보다,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와인을 선택하는 것이 더 현명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와인과 음식의 조화를 이루는 기본 원칙과 실전 팁을 소개합니다.목차와인으로 날씨를 이겨내기짝지어주기 비결무게감과 질감의 조화풍미 강도의 조화빛깔 깊이의 조화음식들 사이의 상관관계가벼운 편인가, 묵직한 편인가부드러운 편인가, 볼드한 편인가 근사한 저녁이나 화려한 디너파티를 빼면, 특별한 음식에 특별한 와인의 짝을 맞추는 문제로 고민할 필요는 별로 없다. 사실 그때가 하루 중 어느 시간인지, 또는 한해 중 어느 계절인지에 맞춰 와인을 선택하는 편이, 특별한 요리에 와인을 맞추려 고심하는 것보다 더 분별 있는 경우가 많다. 어쨌든 어떤 계절이냐에 따라먹고 싶은 것이 달라지고, 점심이든 저녁이든 대.. 2025. 7. 12.
레드 와인 스타일별 대표 와인 총정리 라이트 한 보졸레부터 묵직한 바로사 시라즈까지, 레드 와인은 바디감에 따라 맛과 향의 세계가 전혀 달라진다. 레드 와인 입문자와 애호가 모두를 위한 완벽 가이드를 알려드립니다 목차1. 가벼운 스타일의 레드 와인2. 중간 스타일의 레드 와인3. 묵직한 스타일의 레드 와인4. 마무리 요약 1. 가벼운 스타일의 레드 와인레드 와인은 정말로 라이트 한 바디에 해당될 만한 경우가 아주 드물기 때문에 우리가 비교적 가벼운 스타일이라고 여기는 레드 와인은 대체로 알코올 함량이 13.5% 이하이다. 즉 라이트 바디의 화이트 와인과 비교하면 알코올 느낌이 더 강한 편이다. 와인 입문자들을 위한 몇몇 틈새 와인을 제외하면, 빈트너들은 레드 와인을 빚을 때 드라이한 단계에 이를 때까지 극도로 발효시킨다. 그 결과, 레드 와.. 2025. 7. 11.
화이트 와인의 모든 것: 가벼운, 중간, 묵직한 바디별 대표 와인 완전 정리 화이트 와인은 가벼운 샴페인부터 묵직한 마데이라까지 다양한 스타일을 갖고 있다. 바디감과 풍미에 따라 나뉘는 화이트 와인의 세계를 쉽게 설명드립니다 목차1. 가벼운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2. 가볍지도 묵직하지도 않은 중간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3. 묵직한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4. 마무리 1. 가벼운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정말 라이트 바디에 해당될 만한 와인들은 알코올 함량이 12.5% 이하인데, 이런 와인들은 거의 예외 없이 화이트 와인이며 하나같이 묽고 부드러운 마우스필을 지니고 있다. 드라이하고 무게감이 가벼운 와인들은 당연히 저 숙성 포도가 원료로 쓰이지만, 대다수는 어느 정도의 당분을 지키기 위해 중간에 발효가 중단되어 약간 달콤한 맛을 띤다. 단, 아주 달콤한 디저트 와인의 경우는 예외여서 대부분 알.. 2025. 7. 11.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의 차이는 포도 품종에서 시작된다 와인의 풍미는 포도 품종에 따라 결정된다. 화이트와 레드 와인용 포도 품종별 특징과 풍미 차이를 이해하면, 와인 선택이 더욱 즐겁고 쉬워다. 목차1. 품종별 구분2. 화이트 와인용 포도 품종3. 화이트 와인의 연관성 살펴보기4. 레드 와인의 연관성 살펴보기5. 레드 와인용 포도 품종6. 마무리 와인의 원료로 쓰인 포도의 종류는 스타일의 주된 요소이다. 포도는 품종별로 특유의 특징과 풍미를 지니고 있다. 어떤 품종은 뚜렷이 구별되는 독특한 특색을 띠고 있는가 하면, 비교적 특색을 분간하기가 쉽지 않은 품종도 있다. 사과나 망고가 품종별로 그 모습과 맛이 다르듯, 와인주조용 포도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어떤 포도나무든 그 과실의 발육은 햇빛과 숙성에 좌우되는 만큼, 반드시 포도만이 와인의 풍미를 이루는 단 .. 2025. 7. 11.
와인의 맛을 결정짓는 숙성의 비밀 포도의 숙성도는 와인의 맛과 향, 알코올 도수까지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와인의 숙성 개념부터 알코올 도수로 풍미를 예측하는 법까지, 와인 선택이 쉬워진다. 와인 세계의 원리를 설명하거나 와인별로 어떤 맛이 날지 미리 가늠하는 측면에서 볼 때, 숙성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개념이다. 목차1. '설익은' 맛부터 뛰어난 맛까지2. 숙성의 미묘한 차이들3. 풍미의 부스터4. 알코올이 알려주는 이야기5. 마무리 1. '설익은' 맛부터 뛰어난 맛까지숙성은 과일 발육에서의 최종 단계다. 즉 신선하고 먹음직스러운 맛이 나기에 적절한 균형이 갖추어져 이제 수확해도 될 만한 시기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숙성은 과일을 딱딱하고 시큼한 미완숙의 단계에서 달콤하고 과육 풍성한 단계로 변화시켜 주며, 이때 그 과일의 빛깔도 .. 2025. 7. 11.
와인 풍미를 살리는 최적의 온도 와인의 풍미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레드, 화이트 와인의 이상적인 서빙 온도부터 냉동 보관법까지, 와인 맛을 최상으로 즐기기 위한 실전 가이드를 소개합니다.목차1. 당신의 와인은, 당신의 법칙대로!2. 해보면 알게 되는 차이3. 와인 얼리기4. 레드 와인의 서빙을 위한 조건5. 그 외 와인의 서빙을 위한 조건6. 마무리 와인의 풍미는 온도에 민감한 휘발성 성분에 따라 좌우된다. 그런 이유 때문에 가장 알맞은 온도에 맞춰 서빙하고, 조금씩 따라서 그 이상적인 온도를 유지하고, 병을 얼음에 담그며, 잔을 쥘 때는 다리로 잡는 등의 온갖 유난을 떠는 것이다. 우리가 이용하기 쉬운 온도는 실온과 냉장고 온도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선호하는 와인의 온도는 그 중간 대이다. 즉 레드 와인의 경우엔 실내보다는 더 차.. 2025. 7. 11.